[2023년 5월 2일 르네명품기행 '군위 사유원' 방문 ] 숲을 보며 성찰한다는 의미의 "사유원" 5월2일 경기르네 회원 25명이 경북 군위에 있는 수목원 “사유원‘(思惟園)을 방문하였습니다. 5월의 찬란한 햇살이 주는 눈부심과 팔공산자락 70만평에 펼쳐진 조물주의 작품인 신록의 아름다움은 우리 모두를 행복하게 만들어 주었습니다. 수백년의 풍상을 견디고 지내온 소사나무,소나무.배롱나무,모과나무등의 고목 아름다운 조경과 사유원 숲이 보여주는 압도적인 풍광 그리고 그 속에 위치한 세계적인 건축가들(알바로사지 ,승효상 등)의 건축물들이 자연스럽게 공존하며 있는 최고의 명품 수목원입니다. 숲을 보고 자유로이 거닐며 성찰한다는 "소요헌" 수목원 사방을 조망할 수 있는 전망대 "소대 ' 수 백년된 모과나무 108 그루가 심어져 있는 고풍스런 "풍설기 천년" 눈을 감고 명상에 잠기는 건축물 "명정" 팔공산의 연두빛 푸르름이 눈에 잡힐듯 펼쳐지는 곳 "팔공청향대" 정자와 계곡 연못이 어우러진 너그러운 양반가의 전통 한옥정원 "유원 ' 사색하는 물의정원 " 사담" 햇살의 눈부심 연두빛 신록에서 발산하는 압도적 풍광 곳곳의 건축구조물 통해 던져지는 생각 바람에 실려오는 청량함과 평온함 행복을 불러오는 편암함과 여유 우리가 느껴본 3시간의 과정 입니다. 5월은 신록의 계절 우리가 비록 빈한하여 가진 것이 없다 할지라도 우리는 이러한 때 모든 것을 가진 듯하고 우리의 마음이 가난하여 바라는 바 기대하는 바 없다 할지라도 하늘을 달리고 녹음을 스쳐오는 바람은 다음 순간에도 모든 것을 가져올 듯 하지 아니한가 ? - 이양하(1904~1963) 의 ”신록예찬“ 중에서
수원이 품은 「먼동」의 작가
홍성원의 "문학과 삶"
한국 근대미술사의 산 증인
백영수 화백 초청 토크쇼
주역(周易)으로 본 생활의 지혜
행복한 정치혁명
(이웃을 행복하게 하고, 즐겁게 하는 정치란)
중국민란을 통해 본 중국의 역사
"한국사회의 3대 거품"과 치유방안
한반도의 운명을 바꾼 전투
쉽게 이해 하는 오페라 이야기
수원과 나의 문학
조선의 무예와 사극 속 전투 현실
전통문화의 이해 (토속신앙을 중심으로)
촛불의 사대정신과 우리의 과제
2017년 수원의 길을 묻는다
(시민의 시대, 시민의 정부)
톺아보는 수원의 인물들
큰 느티나무 같은 애국지사 염석주 선생
여기산에 잠든 세계적인 육종학자 우장춘
탄생 100주년을 맞는 세사람이야기
자본주의 흐름의 이상기류
그리고 한국정치경제
4차 산업혁명과 우리의 미래
학국사회와 대중문화2
"법의 정신" 법은 누구를 위해 존재하는가?
6.13 지방선거의 의미와 과제
저항시인 이육사를 통해 본 독립운동의 이해
잊혀진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재무총장 최재형의 삶
소강 민관식의 삶과 수원
장한종의 그림 세계
인플루엔자의 역습과 인간
(조선후기 전염병의 유행과 정조의 홍역대책)
2019년 수원의 길을 묻는다
포용국가 건설을 위한 문재인 정부 소득주도
성장의 오해와 진실
"까만나라 노란추장"
아프리카에 심은 한국농업의 꿈
우주의 신비, 그리고 인류의 도전
시대를 앞서간 조광조의 꿈과 현재적 의미
레오나르도 다빈치 사후 500주년 기념
고궁 600년 자금성축성 600주년
한국전쟁과 수원
사진으로 읽는 수원의 근현대사
"수원에는 "뜰"이있다"
다시생각하는 아름다운 전태일
지방자치 30년과 수원특례시의 과제와 전망
한국언론의 현실과 과제
기후변화와 그리고 멸종위기종 이야기
한국 근대미술의 이해
김대건신부 탄생 200주년 희년 기념 특강
기생충,미나리 그리고 오징어게임
100년의 울림 2021년 탄생 100년의 세 문인 이야기
동양철학자가 바라본 2022년 임인년의 의미와 우리의 자세
2022년 CES(세계가전전시회)를 통해 본
“4차 산업혁명”의 흐름
의암 손병희 순국 100주년
동학혁명에서 3.1혁명까지
교양인이 반드시 알아야 할
훈민정음 이야기
새로운 100년: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 구상
남극이야기 : 어니스트 섀클턴(184~1922)사후 100주년
한국가곡100주년의 이해: 동무생각(思友) 100주년을 즈음하여
우리에게”중국”은 누구인가?: 한중수교 30년과 미래의 한중관계
신비한 잉카제국-남미대륙 자유여행 체험기
PERSON
소설 ‘먼동’의 작가
수원이 품은 먼동의 소설가
PERSON
수원 출신의 신사실파주의 서양화가
PERSON
수원에서 만주까지 교육자이며 독립운동가
PERSON
소설가 김훈의 아버지이면서 수원 신풍동 출신 소설가
PERSON
수원출신이면서 우리민족 고유의 심신수련법을 체계화
PERSON
한국농업의 시작을 알린 세계적인 육종학자
PERSON
독립운동가이면서 소설 ‘상록수’ 주인공 최용신의 후견인
PERSON
체육인, 국회의원
한국 근대 스포츠의 아버지
PERSON
아동문학가, 북수동 출생, “오빠생각” 작사자
PERSON
세계적인 기업 SK 그룹을 일군 수원출신의 대표적 형제 기업인
PERSON
수원박물관에 귀중한 역사자료 3만점 기증
PERSON
미술사학자, 남창초등학교 졸업, 다수의 저서 집필